토지거래허가제가 뭐야? 해제 후 변화에 따른 서울 아파트 매매가 상승

 

토지거래허가제도(토허제)란?

 

  • 토지거래허가제도(토허제)는 부동산 투기 방지와 시장 안정을 위해 일정 면적 이상의 토지를 거래할 때 허가를 받도록 하는 제도
  • 실거주·실사용 목적이 아닌 투기 목적으로 매입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규제
  • 최근 일부 지역에서 해제되면서 거래 활성화와 가격 상승이 나타나고 있음

 

 

토지거래허가제(토허제) 해제 이후 서울 부동산 시장 변화:

아파트 거래는 증가, 빌라는 정체

 

서울시가 **토지거래허가제도(토허제)**를 해제한 이후, 아파트 매매 거래량이 급증한 반면, 빌라(연립·다세대) 거래는 상대적으로 미미한 증가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 아파트 거래량 급증

부동산 정보 플랫폼 다방에 따르면, 2025년 2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5171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2714건) 대비 91% 증가했습니다.

  • 전월(1월, 3367건) 대비 54% 증가하여 해제 이후 거래량이 빠르게 늘어났습니다.
  • 특히, 토허제 해제 지역(잠삼대청: 잠실·삼성·대치·청담동)이 포함된 강남 3구에서는 아파트 거래량이 137% 증가(466건 → 1105건)하는 등 높은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2. 빌라(연립·다세대) 거래량은 미미한 증가

반면, 빌라(연립·다세대) 거래량은 소폭 증가하는 데 그쳤습니다.

  • 서울 전체적으로 지난해 동기(1816건) 대비 2% 증가(1858건)
  • 1월(1593건)과 비교하면 17% 상승
  • 강남 3구에서는 지난해 동기 대비 오히려 24% 감소(209건 → 159건)
  • 1월(153건) 대비 4% 증가하는 데 그침

이러한 현상은 아파트와 달리 빌라는 투자 수요가 적고, 전세 사기 등의 영향으로 신뢰도가 낮아진 것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됩니다.


3. 왜 이런 차이가 발생했을까?

토허제 해제의 직접적인 수혜는 아파트

  • 토지거래허가제는 주로 아파트 매입을 규제하는 역할을 했음
  • 해제 이후 실수요자와 투자자들이 몰리면서 거래량 증가

빌라 시장의 장기 침체

  • 아파트보다 선호도가 낮고, 공급 과잉 문제 존재
  • 전세 사기 문제로 인해 신뢰도 하락 → 전세 기피 증가

아파트와 빌라의 자산 가치 차이

  • 아파트는 시장 변동에 따라 자산 가치가 안정적
  • 빌라는 상대적으로 가격 상승 여력이 적어 투자 매력이 떨어짐

4. 결론: 아파트 강세 속 빌라 시장은 위축 지속

📌 토지거래허가제 해제 이후 서울 아파트 시장은 급격한 거래 활성화와 가격 상승을 보이고 있음
📌 반면, 빌라 시장은 전세 사기 여파와 투자 매력 감소로 인해 거래량 증가가 제한적
📌 특히 강남 3구에서는 빌라 거래가 오히려 감소하는 등 시장 양극화 현상 뚜렷

토허제 해제의 영향이 아파트 시장에 집중되면서, 향후 빌라 시장의 활성화 여부는 정부 정책, 전세 사기 문제 해결 여부, 대출 규제 완화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결정될 것으로 보입니다.